top of page

Conducted research

Self-powered Tactile Sensor
Self Charging System (integration of piezoelectric nanogenerator and energy storage)
charge1.png
charge2.png
charge3.png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헬스케어 모니터링,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잦은 배터리 교체 및 주기적인 충전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활용에 문제점이 되고 있고 주위환경에서 에너지를 얻는 energy harvesting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기존의 energy harveseter와 energy storage system을 연결해기 위해서는 정류기 장치 필수적인데 이는 통합된 전자기기의  크기를 커지게 하고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는 등 웨어러블 전자기기에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 LMI에서는 energy harvester 중 하나인 piezoelectric nanogenerator를 활용하여 몸의 움직임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harvesting 하고, 이를 바로 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하여 전자기기에 에너지를 공급해줄 수 있는 자가충전형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Piezoelectric nanogenerator를 energy storage syste의 내부에 위치시켜 single unit으로 통합시켜서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몸이 나타내는 다양한 기계적 변형에 반응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energy storage system에 바로 화학적 에너지로 저장시키는 시스템 구현은 전자기기의 portability와 사용지속성을 향상시킬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Wearable Oxygen Sensor
wearable chemical sensors.png

산소는 신체 에너지 생성과 조직 재생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산소가 조직으로 전달되지 않으면 심근경색, 암, 당뇨와 같은 심각한 질병이 발병하고 혈관 수술을 시행한 모든 장기이식 및 유리피판술 후 혈관폐쇄의 위험이 발생한다. 역으로, 조직산소농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면, 증상조기발견을 위한 미래 질병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기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기기중에 클락타입센서는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측정의 정확도가 높으나, 침습적이기 때문에 측정자의 고통을 수반한다는 문제가 있다. 비침습적인 방식으로는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옥시메트리, 레이저도플러등의 기술이 있으나, 실제 조직이나 피부표면의 산소농도가 아닌 헤모글로빈 농도나, 혈류 등 산소를 유추하는 간접지표를 측정하는 방식이라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그룹에서는 비침습적이면서도, 재료공학과 소자물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웨어러블한 광발광식 산소센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미세한 산소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산소에 대한 높은 민감도가 필수적이며 또한 광센서를 구동하거나 광신호를 받기 위해서는 광원이나 수광부 등 유기디바이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추후 신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연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그룹에서는 산소 농도에 따라 발광특성이 달라지는 염료가 들어간 산소센싱필름을 제작한 후 센싱필름의 구조변형을 통한 기체투과성을 개선하였고 또 고굴절률 산란입자를 도입하여 필름의 민감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발광부인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수광부인 유기포토다이오드(OPD)를 유연 초박막위에 제작한후 각 요소를 일체형으로 통합하여 밴드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제작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일회성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유연한 광발광식 산소센서를 개발하였다.

  본 기술을 말초혈관계질환 등의 환자에 적용할 경우 wireless data-transfer technology를 도입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지속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질환의 진행을 막고, 조기진단을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비용이 감축되는 등 새로운 의료 플랫폼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그룹에서 제시하는 센서 플랫폼은 산소 외에도 이산화탄소, 글루코오즈, pH 등 다양한 생체신호 감지를 통해 다른 의학적 정보를 한번에 얻는 multi-analyte 센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추후엔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산소분포의 대면적 이미징 기술 등 동일한 원리를 바탕으로 한 차세대 기술을 연구 및 개발하고, 종래 산소측정기술기반 센서의 부정확성 또는 측정한계를 극복하여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이 기대된다.

Piezoelectric Nanogenrator
piezo1.png
piezo4.png
piezo2.png
piezo3.png

Mater. Res . Express 6 (2019) 086311

Nano Energy, 79, 2021, 105445

Energy Storage System
storage1.png
storage2.png
storage3.png

RSC Adv., 2020, 10, 22102-22111

 유연한 전자 기기의 활용 분야가 넓어짐에 따라 device의 flexibility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러한 device를 구동시키는 power source도 flexible 특성이 필요해지고 있다. LMI에서는 기존의 리튬 이온 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energy storage system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 하나는 thin film 형태의 flexible supercapacitor이다. Flexible supercapacitor는 전자기기의 무게를 줄여주며 형태의 제약이 없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 중 하나이다. Supercapacitor를 유연하게 제작하기 위해서 본 연구실에서는 용액 공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용액 공정으로 기판의 제한 없이 다양한 두께의 supercpacitor를 제작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 중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밀도를 비교하는데 사용하는 Ragone plot을 보면, 별모양으로 표시된 부분이 연구실에서 제작한 supercapacitor을 성능이며 power density, energy density 둘 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tactile1.png
tactile2.png
tactile3.png

 의수/의족 등의 인공 보철이나 로봇 등에 적용하기 위해 인체의 피부를 모방한 전자 피부는 유연성, 신축성, 자가 치유 등의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감각세포를 모사한 센서 기능들을 갖는 전자기기로 정의된다.

 전자피부는 센서, 구성 회로, 디스플레이, 전력 공급원으로 구성되는데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센서를 연구하는데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피부의 주기능인 기계적인 힘과 온도 변화의 측정이 주로 연구한다.

 특히 여러 종류의 센서들은 외부 동력원을 필요로 하여 규칙적인 교체 또는 재충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나 압력 등의 외부 자극을 느끼는 전자 피부를 위하여 단일 전극 마찰 발전기 기반의 웨어러블 자가 동력 센서를 개발하고자 한다.

 마찰 발전기가 터치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고 여러 센서들에 사용되는 전기신호 변환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압력, 변형, 온도, 습도 등의 주변 환경에서의 여러 자극을 동시에 인지하는 전자 피부를 제작하고자 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