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Hybrid-Structured Indium Tin Oxide with Ag Nanoparticles as Crystalline Seeds for Transparent Electrode with Enhanced Flexibility and Its Application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May 2014, Volume 53, Issue 5S1, 05FB13
Ross E. Triambulo, Hahn-Gil Cheong, Huanyu Zhou, Gun-Hwan Lee and Jin-Woo Park
39.
The effect of the size and volume fraction of Zr2Cu on the sintering behavior of tungsten matrix composites during liquid-reactive sintering
International Jounal of Refractory Metals and Hard Materials, March 2014, Volume 43, p.157-163
Jin-Woo Park, Ji-Yeon Suh, Seung-Won Kang, Se-Eun Shin, Dong-Hyun Bae
32.
The effect of alloy composi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oxide scales on four selected steel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STRUCTURAL MATERIALS PROPERTIES MICROSTRUCTURE AND PROCESSING, Volume 556, October 2012, 246–252
Chan-Woo Yang, Seung-Mok Cho, Youn-Hee Kang , Jong-Sub Lee, Jin-Woo Park
40.
Hybrid-Structured Indium Tin Oxide with Ag Nanoparticles as Crystalline Seeds for Transparent Electrode with Enhanced Flexibility and Its Application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May 2014, Volume 53, Issue 5S1, 05FB13
Ross E. Triambulo, Hahn-Gil Cheong, Huanyu Zhou, Gun-Hwan Lee and Jin-Woo Park
39.
The effect of the size and volume fraction of Zr2Cu on the sintering behavior of tungsten matrix composites during liquid-reactive sintering
International Jounal of Refractory Metals and Hard Materials, March 2014, Volume 43, p.157-163
Jin-Woo Park, Ji-Yeon Suh, Seung-Won Kang, Se-Eun Shin, Dong-Hyun Bae
32.
The effect of alloy composi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oxide scales on four selected steel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STRUCTURAL MATERIALS PROPERTIES MICROSTRUCTURE AND PROCESSING, Volume 556, October 2012, 246–252
Chan-Woo Yang, Seung-Mok Cho, Youn-Hee Kang , Jong-Sub Lee, Jin-Woo Park
Flexible perovskite LED
전세계적으로 발광소자에 대한 연구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s, L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를 중심으로, TV, 스마트폰 등 IT 산업과 더불어 발전하였다. 최근 조명용 및 전장용으로 응용분야가 확대되면서 초기 대비 발광 효율, 연색성, 신뢰성 등 많은 부분에서 성능이 향상되었으나,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는 한계점과 가격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연구그룹에서는 차세대 발광소자 후보군인 전기화학발광(Electrochemiluminescence, ECL)과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화합물을 이용하여 저비용 대면적의 용액공정이 가능한 발광소자를 구현하고 있다. 모든 소자는 ITO/Glass 전극뿐만 아니라 ITO/PET, ITO/PI 및 은 나노 와이어가 임베딩된 기판 등의 유연성 전극에서도 구현이 가능하여 향후 플렉서블, 웨어러블 소자로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루테늄 착화합물의 전기화학발광을 이용하여 레드-오렌지 영역의 발광 특성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전극에 평가하여 유연성 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또한,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MAPbBr3,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을 이용한 녹색 영역의 발광특성을 갖는 소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이며 전자수송층(ETL)을 변경한 특성 개선, 발광다이오드에 사용되는 봉지재(encapsulation silicone)를 스핀코팅 공정으로 도포하여 수명 및 신뢰성을 개선하고 향후 대면적 유연소자에 적용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